자료실
-
문화도시문화다양성 성과측정사업 \"다가치프로젝트\" 문화도시 시민 문화다양성 성과측정사업 \"다가치프로젝트\"
목표
내용
더보기 -
문화도시김해형 행복마을 만들기 \"김해피(Gimhaeppy)\" 문화도시 시민 김해형 행복마을 만들기 \"김해피(Gimhaeppy)\"
목표 마을의 고유한 문화적 특성을 기반으로 마을 단위 문화사업을 모색하고 마을주민과 함께 문화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차별화 된 마을의 문화적 자생력 강화
내용
더보기 -
문화도시2023 도시문화 연구소-연구할LAB! 문화도시 시민 2023 도시문화 연구소-연구할LAB!
목표 문화도시 조성에 필요한 문화·예술 교육 현황을 조사·연구하고, 문화도시에 필요한 전략 수립 및 제안하는 문화 인력 지원을 통해 시민이 중심이 되는 지속 가능한 문화도시를 조성하고자 함
내용 도시문화 연구소 "연구할LAB!"은 문화도시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시민의 참여와 역할을 확대하고 이들의 제안과 그에 따른 연구 결과를 문화도시사업에 반영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더보기 -
문화도시2023 문화공간 디자인&활성화 “공간 백씬(100-scene)” - 지원 공모 사업 문화도시 미래 2023 문화공간 디자인&활성화 “공간 백씬(100-scene)” - 지원 공모 사업
목표 김해의 다양한 문화 공간을 발굴하고, 연결하고, 지원합니다.
내용 ❍ 진행내용 - 민간, 공공 공간 발굴 및 지원을 위한 공모사업 진행(‘21년, ’22년 발굴 공간 제외) - 지원된 공간을 대상으로 공간 네트워킹 진행
더보기 -
문화도시2023 시민문화학교 Tiki-Taka 문화도시 시민 2023 시민문화학교 Tiki-Taka
목표
내용
더보기 -
문화도시2023 도시문화실험실 문화도시 역사 2023 도시문화실험실
목표 직접 일상을 관찰하고, 문제를 제기하고, 해법을 모색하여 도시르 사랑하는 다양한 방법 제시를 통해 시민주체적인 도시문화환경을 조성
내용 1) [내가] 도시를 사랑하는 방법 내가 살아가는 생활권역 속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시도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지원 2) [우리가] 도시를 사랑하는 방법 도시 단위의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을 모색 및 제시해볼 수 있도록 지원 3) [함께] 도시를 사랑하는 방법 주민자치회 주도의 지역사업 발굴을 통한 주민자치 기반 활성화 4) [마을미디어가] 도시를 사랑하는 방법 CPTED 수립 시행하는 정책 과정에서 공급자(행정) 중심이 아닌, 수요자(시민)의 참여와 숙의 과정을 지원함으로 협치의 문화 조성
더보기 -
문화도시2023 시민문화 교류사업 '출항' 문화도시 미래 2023 시민문화 교류사업 '출항'
목표 도시 이름 김해(金海)에도 남아있듯, 원래 바다였던 우리 지역에 배(ship)를 띄워서 다양한 도시와 교류, 연대하는 4가지 프로그램(~ship) 진행
내용 공존과 호혜, 상생과 협력을 바탕으로 김해를 알리는 문화 프로그램 진행 ❍ (추진배경) 시민 문화력 증진을 위해 가야문화 원형(공존, 호혜 등)을 바탕으로 참여자 간 상생·협력하는 공존과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함 ❍ (추진방향) 다양한 국가 및 지역의 도시, 시민 단체와 협력하여 시민 문화 교류를 통해 연대하는 프로그램 진행 ❍ (문화다양성) 서로 다른 문화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즐기는 문화다양성 태도 제안, 참여자 간 소통을 기반으로 공존·교류 기회 제공
더보기 -
문화도시2022 역사 가야 문화도시 교류사업 '출항' 문화도시 미래 2022 역사 가야 문화도시 교류사업 '출항'
목표 가야의 역사적 가치인 공존과 호혜를 바탕으로 역사 문화도시 김해를 알리는 국내·외 문화 교류 및 소통 프로그램 진행
내용 ❍ 김해 역사를 기반으로 한 문화 교류를 통해 지역 정체성 고취 - 청소년들이 직접 김해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국제 교류 진행 - 김해 - 인도 두 지역의 관계성 재조명 및 역사 콘텐츠 활용 방안 제시 - 우리나라 최초 국제결혼, 모(母)계 성 따르기 등 김해가 가진 역사적 문화다양성 가치를 재고하며 지역 사회에 확산 - 2022 허왕후 신행길 축제에 앞서 인도 문화 특강 진행, 허왕후 유물 투어를 진행하여 축제 홍보 및 지역에서 가지는 신행길 축제 의미 재고 ❍ 국내·외 교류를 위한 기반 마련 - (국내) 다양한 기관과 공동 주관으로 행사를 진행하며 협력 경험을 쌓음원활한 진행을 위해 업무 분장 등 지역 교류 실무 기반 마련 - (국외) 다양한 문화 기관과 소통하며 적극적인 국제 소통 창구 모색
더보기 -
문화도시선한 영향력 “가치가게” 문화도시 역사 선한 영향력 “가치가게”
목표 가야로부터 이어져 오는 ‘공존’과 ‘환대’라는 선한 영향력의 가치를 실천하는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발굴을 통한 지역발전 도모
내용 구 분 내 용 비 고 가치가게 ∘ ‘공존’과 ‘환대’의 가치를 실천하는 가치가게 모집, 발굴 및 선정 진행 네트워크 ∘ 선정 가치가게 후속 사업으로 가치가게 간 네트워크 구축 및 공동 프로젝트 추진 활 성 화 ∘ 가치가게를 대상으로 홍보, 행사, 투어 등 다양한 연계 사업 진행을 통한 활성화 추진 가치크루 ∘ 가치가게 사업 추진을 위한 활동가 그룹 운영 및 지원 진행
더보기 -
문화도시2022 도시문화실험실 문화도시 역사 2022 도시문화실험실
목표 지역 곳곳에 당면한 문제를 시민이 주체가 되어 직접 정의하고, 내가 살고 있는 곳에 대한 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프로젝트
내용 주민자치형)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주민참여예산사업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 행정협치형) CPTED 수립,시행하는 정책 과정에 시민의 참여와 숙의 과정으로 지원함으로 협치의 문화 조성 시민의제발굴형) 지역, 연령, 부분 및 분야 등 폭넓게 지역문제를 발굴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논의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
더보기 -
문화도시2022 문화도시 조성사업 문화도시 시민 2022 문화도시 조성사업
목표
내용
더보기 -
문화도시시민R&D <공부하고 공유하는 시민모임> 문화도시 시민 시민R&D <공부하고 공유하는 시민모임>
목표 시민들이 가지고 있는 취미, 정보, 지식을 공유하고 상호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모임을 지원함으로써 시민의 문화력을 강화하고자 함
내용 (활동 층위의 구분) 취미활동부터 탐구, 실행의 영역까지 모임 활동의 층위를 구분하여 지원 (공동체 간의 교류 추진) 공동체 모임 간의 교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모임의 확장성과 정보 공유 확산
더보기 -
문화특화지역문화도시 연계사업 - 거점공간 문화특화지역 문화도시 연계사업 - 거점공간
목표 김해 도시재생 사업과의 연계를 통한 시민, 예술가 등 주체들의 거점 공간 마련
내용
더보기 -
문화도시오래된 미래, 다-가치 프로젝트 <도시와 미래> 문화도시 미래 오래된 미래, 다-가치 프로젝트 <도시와 미래>
목표 도시의 과거로부터 발견할 수 있는 역사적 가치(민주주의, 교류, 기술)를 미래의 도시 가치로 전환하는 계기 마련 - 김해의 도시문화 및 사회의제를 공유 및 공론화 - 가야 역사 문화권 및 문화도시 추진 도시와의 문화 교류 활성화 - 고대와 현재를 잇는 지역 가치를 추출한 미래자산 발굴
내용 ◦ 김해도시포럼 : 도시의 다양한 문화적 이슈(코로나 관련 지역문화환경, 역사, 문화다양성, 문화공간,등)를 공유하고 공론화 하는 포럼 ◦ 가야상생포럼 : 가야문화권 도시 간 교류를 통해 가야의 역사적 가치를 공유하고 도시 간 연대 협력 방안 논의 ◦ 도시미래유산 프로젝트 - 뚜르드가야 #1 <장유가도> ․ 고대와 현재가 공존하는 장소적 의미를 발굴하고 현재적 가치와 함께 미래의 도시가치로 전환해 보는 프로그램 ․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장유가도의 지역적 가치를 로컬 콘텐츠로 개발 ․ 콘텐츠 크루를 발굴하여 크루가 제안하는 프로젝트 실행 - 리빙테크 #1 <분청도자> ․ 도시에서 과거로부터 내려온 손기술인 도자기술을 재조명하고 현대의 생활기술로 엮어 냄 ․ 지역 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해 도자기술을 문화산업과 접목하여 도시의 미래 가치로 전환 ․‘장유가도’, ‘웰컴센터’ 등에 도자 소품을 활용한 쇼룸 운영
더보기 -
오래된 미래, 다-가치 프로젝트 <장소와 미래> 기타 오래된 미래, 다-가치 프로젝트 <장소와 미래>
목표 역사적인 장소가 시민의 일상 속에서 의미 있는 미래가치로 만들어지는 작업을 통해, 도시의 시간과 장소, 문화시민을 연결
내용 ◦ 다양한 문화시민을 환대하는 ‘웰컴로 42번길’ - 미래하우스–수로왕릉–생활문화센터로 이어지는 거리의 일상적 공간(가게)에 공존과 환대를 위한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는 공간을 발굴하여 문화 지구로 조성 - 미래유산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공존과 환대의 가치를 담은 ‘웰컴 센터’ 운영 ◦ 오래된 미래로 만나는 ‘도시가 박물관’ - 도시의 역사를 증강현실을 통해 보존이 아닌 보전과 활용이라는 관점으로 해석하고 시민 일상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함 -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아카이빙 작업으로 도시와 시민의 삶 그 자체가 살아 움직이는 박물관 조성 ◦ 미래하우스 - 청년네트워크가 주체가 되어 한옥체험관을 청년 코-워킹 스페이스로 활용하기 위한 마스터 플랜 수립
더보기